-
[ 목차 ]
중위소득이란?
중위소득(Median Income)은 소득을 낮은 순서부터 높은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정중앙에 위치한 값을 의미합니다. 이는 평균소득과 달리 고소득층이나 저소득층의 영향을 덜 받아 실제 국민의 경제 수준을 보다 정확하게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 중위소득의 특징
상위 50%와 하위 50%를 나누는 기준
다양한 복지 정책 및 지원 기준으로 활용됨
국민의 소득 분포를 객관적으로 파악 가능
2025년 기준 중위소득표
📌 2025년 중위소득 (가구원 수별)
가구원 수 | 중위소득 100%(월 기준) |
1인가구 | 2,392,013원 |
2인가구 | 3,932,658원 |
3인가구 | 5,025,353원 |
4인가구 | 6,097,773원 |
5인가구 | 7,108,192원 |
6인가구 | 8,064,805원 |
7인가구 | 8,988,428원 |
중위소득 산정 기준
중위소득은 가구의 모든 소득을 합산한 뒤 가구원 수에 따라 산정됩니다.
📌 산정 방식
- 근로소득, 사업소득, 금융소득, 연금소득 등을 포함한 총 소득 합산
- 가구 내 부양가족 수에 따라 조정
- 중위소득 대비 30%, 50%, 75%, 100% 등 기준을 적용하여 복지 혜택이 달라짐
중위소득 구간별 혜택
중위소득에 따라 받을 수 있는 복지 혜택이 달라집니다.
✅ 중위소득 30% 이하 (생계급여 대상)
- 생계급여: 소득이 최저생활비 이하일 경우 정부에서 생활비 지원
- 의료급여: 병원비 전액 지원 (일부 본인 부담금 있음)
- 주거급여: 전월세 지원금 지급
- 교육급여: 초·중·고등학생 학비 및 급식비 지원
✅ 중위소득 50% 이하 (기초생활보장 및 주거급여 대상)
- 주거급여 확대 지급: 임차 가구 월세 보조 확대
- 긴급복지지원제도: 갑작스러운 경제적 어려움 발생 시 생계비 지원
✅ 중위소득 75% 이하 (청년 및 신혼부부 지원)
- 청년 월세 지원: 월 최대 20만원 지원 (일정 기간)
- 신혼부부 전세자금 대출 지원: 대출 한도 확대 및 저금리 적용
✅ 중위소득 100% 이하 (일반 복지 혜택)
- 공공임대주택 신청 가능: 국민임대주택, 행복주택 신청 가능
- 건강보험료 경감 대상: 일정 비율 건강보험료 감면 혜택 제공
✅ 중위소득 120% 이하 (기타 복지 혜택)
- 청년내일채움공제 가입 가능: 2년 또는 3년 근속 시 일정 금액 지원
- 육아휴직 급여 지원: 일정 기간 동안 육아휴직 급여 지급
나의 중위소득 확인하는 방법
자신이 중위소득 대비 어느 수준인지 확인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정부 지원 포털 이용
복지로 홈페이지에 접속
'모의계산' 메뉴에서 소득 및 가구원 수 입력
본인의 중위소득 대비 비율 확인
📌 직접 계산하는 방법
가구 내 모든 소득을 합산
위 중위소득 100% 기준표를 참고하여 본인의 소득이 몇 %에 해당하는지 비교
예시
- 4인가구의 월 소득이 5,000,000원이라면?
- 2025년 기준 중위소득 4인가구 (6,097,773원) 대비 약 82% 수준 → 일부 복지 혜택 가능
- 그러나 금융 상환 의무가 있다면 실제 가처분 소득이 낮아질 수 있음.
- 예를 들어 월 1,000,000원의 금융 상환액이 있다면, 실질 소득은 4,000,000원 수준으로 조정 가능함.
- 이러한 경우 가구 소득을 평가하는 일부 복지제도에서는 금융 의무 부담을 고려하여 수급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음.
2025년 기준 중위소득은 다양한 복지 정책의 기준이 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자신의 중위소득 수준을 정확히 파악하면, 받을 수 있는 혜택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중위소득 100%에 해당하는 경우?
- 공공임대주택 신청 가능
- 건강보험료 경감 혜택 가능
- 일부 신혼부부 및 청년 지원제도 대상
앞으로도 중위소득 변동 사항을 지속적으로 확인하면서, 본인의 재정 계획을 탄탄하게 세워보세요! 😊
📢 더 자세한 중위소득 정보 확인: 정부 복지포털 바로가기 🔗
https://www.bokjiro.go.kr/ssis-tbu/index.do
www.bokjiro.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