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
부동산 거래를 앞두고 가장 많이 검색하는 주제 중 하나가 바로 ‘중개수수료’입니다.
매매나 전세 계약을 체결할 때, 공인중개사에게 지급하는 수수료가 얼마인지 미리 알고 있어야
불필요한 오해나 분쟁 없이 원활하게 계약을 마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중개수수료 계산 방법과, 거래 유형별 수수료율표를 쉽게 정리해 드릴게요.
2025년 기준 최신 정보로 정리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부동산 중개수수료란?
중개수수료는 부동산 거래 시 공인중개사가 거래를 성사시켜준 대가로 지급하는 비용입니다.
이는 법적으로 정해진 ‘상한 요율표’를 기준으로 계산되며,
공인중개사와의 협의를 통해 상한선 이내에서 결정할 수 있습니다.
즉, 법에서 정한 비율을 무조건 다 내야 하는 건 아니고, 협상도 가능하다는 점 기억하세요.
2.부동산 중개수수료 계산 방법
중개수수료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계산합니다.
거래금액 × 요율 = 최대 중개수수료 (상한선)
계산된 금액은 상한선 기준이며,
중개사와 협의하여 이보다 적은 금액으로 조율도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매매가 5억 원이고 해당 구간의 요율이 0.4%일 경우,
5억 × 0.004 = 200만 원 (부가세 별도)
여기에 부가가치세 10%가 붙으면 최종 수수료는 220만 원이 됩니다.
3.2025년 기준 부동산 중개수수료율표
① 주택 매매 계약 시
거래 금액 | 중개보수 요율 상한 (부가세 별도) |
---|---|
5천만 원 미만 | 0.6% |
5천만 ~ 2억 원 | 0.5% |
2억 ~ 6억 원 | 0.4% |
6억 ~ 9억 원 | 0.5% (협의 가능) |
9억 원 초과 | 0.9% (협의 가능) |
② 전세(임대차) 계약 시
거래 금액 | 중개보수 요율 상한 (부가세 별도) |
---|---|
5천만 원 미만 | 0.5% |
5천만 ~ 1억 원 | 0.4% |
1억 ~ 3억 원 | 0.3% |
3억 ~ 6억 원 | 0.4% (협의 가능) |
6억 원 초과 | 0.8% (협의 가능) |
※ 참고: 임대차 계약 시에는 보증금 + (월세 × 100)을 합산한 금액으로 계산합니다.
예: 보증금 1억, 월세 50만 원 → 1억 + (50만 × 100) = 1억5천만 원 기준
4.부동산 중개수수료 협의는 가능할까?
중개보수는 상한 요율까지는 법적으로 정해져 있고,
그 이내에서 공인중개사와 협의로 조정 가능합니다.
특히 거래금액이 높은 경우,
정해진 상한선보다 낮은 요율로 협의되는 경우도 종종 있으니
계약 전 중개사와 수수료율을 명확히 협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5. 부동산 중개수수료 절반씩 나눠 내야 하나요?
매도인(임대인)과 매수인(임차인)은 각각 자신의 중개수수료를 부담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한쪽에서 전액을 부담해야 할 법적 의무는 없습니다.
특정 부동산에서 전액을 요구하는 경우도 있으니
계약 전 명확히 조건을 확인하고 계약서에 중개보수 부담 주체를 명시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6.마무리
부동산 계약은 몇천만 원, 몇억 원 단위의 큰 돈이 오가는 거래입니다.
중개수수료 역시 거래금액에 따라 커질 수 있기 때문에
미리 수수료율표를 숙지하고, 정확한 계산법을 알고 있어야 불이익을 피할 수 있습니다.
오늘 정리해드린 내용으로 중개수수료 관련 궁금증이 해소되셨길 바랍니다.